동남아시아 카지노 산업이 급변하고 있습니다. 싱가포르와 필리핀은 복합리조트를 중심으로 대규모 투자에 나서며 관광객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특히 싱가포르의 마리나베이 샌즈와 리조트 월드 센토사는 각각 40억 달러 이상의 확장 프로젝트를 추진 중입니다.
필리핀 마닐라의 엔터테인먼트 시티도 주요한 투자 허브로 떠올랐습니다. 솔레어 노스, 오카다 마닐라 등이 차세대 IR 전략을 준비 중이며, 스마트 카지노 기술도 적극 도입 중입니다.
한편, 캄보디아는 국경 중심의 카지노 모델에서 벗어나 시하누크빌 해안 중심 리조트로 방향을 바꾸고 있습니다. 베트남은 외국인 전용 카지노를 유지하면서도, 국내인 입장 허용 실험을 확대하고 있는 중입니다.

SG 싱가포르 : 투자 규모와 방향
싱가포르는 고급 복합리조트 모델을 선도해온 대표적인 국가입니다. 현재 마리나베이 샌즈와 리조트 월드 센토사 두 곳 모두 대규모 확장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항목 | 마리나베이 샌즈 | 리조트 월드 센토사 |
---|---|---|
확장 예산 | 약 46억 달러 | 약 40억 달러 |
주요 내용 | 신관 타워, 전시장 추가 | 워터파크, 수족관 확장 |
목표 연도 | 2028년 완공 예정 | 2027년 완료 목표 |
PH 필리핀 : 파라냐케·클락 지역의 IR 개발 붐
엔터터인먼트 시티의 부상 : 필리핀은 마닐라만 인근의 엔터테인먼트 시티를 중심으로 글로벌 카지노 기업들이 활발히 진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부터 솔레어 리조트 확장, 오카다 마닐라의 스마트기술 도입이 핵심 키워드입니다.
IR 명 | 주요 기업 | 개발 내용 | 투자액 |
---|---|---|---|
솔레어 노스 | Bloomberry | 신규 호텔 & 카지노 타워 | 12억 달러 |
오카다 마닐라 | Tiger Resorts | AI 기반 스마트 카지노 도입 | 약 10억 달러 |
KH 캄보디아 : 국경 카지노 도시에서 복합 리조트로
캄보디아는 그 동안 포이펫, 바벳 등의 국경 도시에 카지노를 밀집시켜왔지만, 최근에는 시하누크빌 해변 지역에 고급 복합 리조트 모델을 도입 중입니다.
도시 | 기존 모델 | 변화 방향 | 관련 기업 |
---|---|---|---|
포이펫 | 저비용 국경 카지노 | 폐쇄 및 리브랜딩 | Golden Crown |
시하누크빌 | 중국 타자 중심 리조트 | 고급 IR 지향 | Prince Group |
VN 베트남 : 점진적 합법화와 외국인 한정 카지노 정책
베트남은 까머우(Ca Mau), 호트람(Ho Tram) 지역에 외국인 전용 카지노를 포함한 복합리조트를 개발 중입니다. 동신에 국내인 입장 허용 실험을 2026년까지 연장하면서 향후 내국인 대상 시장 확대 가능성도 시사했습니다.
구분 | 프로젝트명 | 내용 | 주요 투자자 |
---|---|---|---|
남부 | Grand Ho Tram Strip | 외국인 카지노 & 골프리조트 | Asian Coast Development |
북부 | Sun Group IR | 국내인 입장 허용 실험 | Sun Group |
동남아 전체 카지노 매출 추이와 전망
2023 ~ 2027 매출 전망 (단위 : 억 달러)
국가 | 2023 | 2025 (예상) | 2027 (예상) |
---|---|---|---|
싱가포르 | 66억 | 80억 | 95억 |
필리핀 | 48억 | 60억 | 72억 |
베트남 | 12억 | 15억 | 20억 |
캄보디아 | 9억 | 11억 | 13억 |

동남아시아 카지노 산업 확장의 배경
- 코로나 이후 관광 재개와 중국 관광객 회복
- 정부 주도의 복합리조트 육성 정책
- 온라인 카지노 단속 강화에 따른 오프라인 중심화
앞으로 주목할 트렌드
- 태국 카지노 합법화 움직임 : 동남아 전체 판도 바뀔 수 도 있음
- ESG, 친환경 리조트 구축 경쟁 : 지속 가능성 강조
- 크루즈형 카지노 개발 : 말레이시아, 필리핀 해역에서 추진 중
동남아 복합리조트(IR)의 ESG 적용 사례
ESG란?
ESG(Environment·Social·Governance) 는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기준입니다. 카지노와 복합리조트도 이제 ESG를 브랜드 이미지, 투자유치, 정부 승인의 핵심요소로 보고 반영하고 있습니다.
싱가포르 마리나베이 샌즈의 전략
- 수처리 기술 : 리조트 전역에서 빗물, 생활용수 재활용
- 태양광 패널 : 8,000개 이상 설치 → 전력 사용의 20% 충당
- 그린 빌딩 인증 : BCA Green Mark Platinum 획득
필리핀 오카다 마닐라의 사회적 책임 프로그램
- 현지 주민 채용 비중 80% 이상
- 빈곤층 의료 지원 재단 운영
- 건물 전첼의 탄소 배출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
베트남 Grand Ho Tram Strip의 해양 생태계 보호 정책
- 해변 침식 방지용 식생벽 시스템 도입
- 해양 쓰레기 수거 캠페인 운영
- 비닐 제로화 정책 : 객실, 레스토랑에서 플라스틱 사용 금지
ESG를 강화하는 이유?



동남아 복합리조트(IR) 정책 리스크 분석
동남아시아는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이지만 다음과 같은 정책 리스크를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1. 규제의 불투명성과 예측 불가성
정부가 갑자기 입장 정책을 변경하거나 면허 발급 기준의 변경, 연장 불투명에 대한 예측이 필요합니다.
캄보디아 | 온라인 카지노突 폐지(2020) | 투자 손실·철수 증가 |
필리핀 | PAGCOR의 수익 분배 개입 | 라이센스 불안정 |
베트남 | 내국인 입장 제한 지속 | 시장 확대 제약 |
2. 정치적 리스크 및 정권 교체
- 필리핀 : 정권 교체시 PAGCOR 운영권 민영화 논의 반복
- 태국 : 카지노 합법화 이슈에 정치권 대립 존재
- 캄보디아 : 친중 정책 변경시 외국 자본 철수 가능성
- 정치 안정도 + 장기적 카지노 법안 프레임 확보 여부 확인 필수
3. 투자자 대응 전략 요약
- 현지 파트너와 합작 구조 활용 : 리스크 분산 및 인허가 용이
- 국가별 ESG 대응 프레임 구축 : 규제에 맞춘 로드맵 사전 설계
- 포트폴리오 분산 투자 : 1개국 집중 → 리스크 분산
동남아 IR시장은 무한한 잠재력이 있지만, 합법·제도화 구조가 완전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진출 초기부터 법적 대응책, ESG 마스터플랜, 운영 유연성 확보 전략을 병행해야 합니다.
동남아시아는 지금 전 세계 카지노 업계가 주목하는 차세대 시장입니다. 고급 복합 리조트, 스마트 카지노 기술, 외국인 관광객 유치 전략이 결합된 이 지역은 향후 10년간 아시아 IR 산업의 중심이 될 것입니다. 한국에서도 투자 기회를 분석하거나 관광 트렌드를 주시해야할 시점입니다.